파트_스케치
스케치는 3D 모델의 기초가된다.
스케치를 시작으로 모델을 만들고, 스케치에서 피처를 생성할 수 있다.
하나 이상의 피처를 결합해 파트를 만들 수 있고, 적절한 파트를 결합하고 메이트하여 어셈블리를 만든다.
어셈블리를 만든 후에도 도면을 생성할 수 있다.
파트 프로젝트에서의 스케치는 X,Y,Z 및 추가된 평면이나 작업 중 생성된 축에 수직한 평면 뷰 등의 투사도와 같은 여러 2D 프로파일로 표현되고 존재하고, 각각의 2D 프로파일에 다른 축의 요소를 겷바하여 3D를 스케치 할 수 있다.
용어.
치수 : 스케치를 구성하기위해 점. 선, 원호 등의 객체를 불러오고 Property를 확정할 때 치수선을 통해 치수를 입력한다.
길이, 반경과 같은 요소들을 치수로 지정하며, 치수를 바꾸면 파트의 크기와 모양도 바뀌며, 치수를 정의하지 않은 파트는 설계 의도와 다른 파트가 될 수 있다.
구속 치수 : 구속 치수는 스케치 객체에 치수 입력하지 않았음에도 다른 치수들과의 관계에서 정의가 되었음을 의미한다.

스케치 정의
완전 정의 : 완전 정의된 스케치를 이루는 선, 원, 원호 등과 같은 객체는 모두 검은색으로 표시된다.
완전 정의된 스케치의 객체는 모두 치수가 정의 되어 있으며 설계의 의도가 명확한 것이다.
불완전 정의 : 불완 전정의는 완전 정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설계 의도가 명확하지 않아.
다른 치수가 변경 될 시 치수가 정이되지 않은 객체의 치수는 임의의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.
초과 정의 : 완전 정의에 필요한 치수를 초과한 치수기입을 할 경우로 노란색으로 표시된다.
초과 정의는 설계의 의도는 명확하지만, 불필요한 치수 기입은 피하는게 좋다.



구속 조건
스케치 요소 사이에 동등, 평행, 탄젠트와 같은 기하 구속 조건을 부가한다.
| Snap Point 2D 도면 스케치 중 또는 그 이후에 스케치를 구성하는 선분, 원호 등의 각 오브젝트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구속 조건이라하며 아래와 같은 기호로 관계 간략히 정보를 표현하며 사용자와 정보 전달의 편의를 제공한다. |
|
![]() ![]() |
Point Snap : 접점 원호와 선분의 시작과 끝 지점에 표현된다 Center Point Snap : 원이나 원호의 중심점 Midpoint Snap : 선분의 중심점 Quadrant Snap : 원호, 원의 사분면 평면 좌표계 상에서의 원, 또는 원호의 사분면이다. Intersection Snap : 두 선의 교차 지점 Nearest Snap : 두 선이 만나는 지점(교차하지 않음) Tangent Snap : 선과 원의 접점 Perpendicular Snap : 두선이 직각을 이룸 Parallel Snap : 두 선 이 평행조건에 있음 외에도 수직 수평이 있다. 선분의 경우 독립 오브젝트의 정의에는 가로 축 기준 수직, 수평이 있있다. |
| 잘 사용하지 않음. H/V Snap : 수직 수평 스냅 H/V Point Snap : 점에서 수평 수직 스냅 Length Snap : 길이 스냅 Angle Snap : 각도 스냅 |
|
스케치 복잡도
간단한 스케치의 경우 스케치 작성과 업데이트 작업이 쉽고 재생성 속도도 빠르다.
스케치를 간단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속 조건을 부가하고 반복, 대칭 복사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

'장비설계 > 기구설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Solid Works]어셈블리 (0) | 2021.09.22 |
|---|---|
| [Solid Works]파트_피처 (0) | 2021.09.22 |
| [Solid Works] 최종 (0) | 2021.09.18 |
| [Solid works] 기초 (0) | 2021.07.24 |
| [Solid works] 3D부품 설계_7/16 (0) | 2021.07.16 |

